2008/11/02 2008년도 이제 두 달 남았다. 2008년은 짜라에게 특별한, 아주 특별한 3가지 경험을 선물했다. 1. 처음으로 내 의지로 사표를 썼다.
2. 단순한 희망사항이던 여행을 결정 했다. 3. 처음으로 무협지를 보았다. 3. 김용의 ≪사조삼부곡≫을 읽다. 김용은 무협소설의 어머니이다. 그의 ≪사조삼부곡(영웅문)≫은 무협 소설의 처음이자 끝이다. 2008년에 『사조영웅전』, 『신조협려』, 『의천도룡기』 세편(24권)의 무협 소설을 모두 읽었다. 다른 사람들이 중.고교 시절에 (몽정에 탐닉하듯) 빠져드는 무협에 한발 늦게 그것도 느긋하게 빠져들었다. 처음부터 이런 목표를 세운 것은 아니다. 그냥 읽다보니, 그렇게 된 것뿐이다. 아직도 욕심은 남아있다. ≪사조삼부곡≫에 이어지는 『녹정기』, 『천룡팔부』, 『소호강호』 세편(38권)을 또 읽고 싶다. 그러나 서두를 필요는 없다. 몇 년쯤 뒤에 이어지는 이야기를 봐야겠다. ≪사조삼부곡≫은 AC 1100년부터 1400년 사이에 일어난 역사적인 사건들을 이야기에 녹여 소설로 써 내린 것이다. 김용의 소설은 굳이 무협이 아닌, 인생사 갈등만으로도 이야기는 충분히 재미있다. 삶과 죽음의 길고 짧음을 어찌 사람이 억지로 추구할 수 있으랴?
삶에 대한 애착이 그래도 미망이 아님을 내 어찌 알 것이며, 죽기를 겁내는 마음이 어릴 적 고향 떠나 타향살이하며 장성해서도 고향에 돌아갈 줄 모르는 것과 같음을 내 어찌 알랴? 죽고 나서도 자신이 살아생전 삶에 연연했음을 후회하지 않게 될지 내 어찌 알랴?- 『장자』 내편, 제2권 《제물론》, 구작 선생과 장격 선생의 대화에서 인용.
짜라는 스스로를 아직도 '어리다' 생각하고 있지만, 100년 전에만 해도 벌써 처자식을 두고, 그 자식이 서당에가 글공부를 할 만큼 장성했을 것이다.
의천도룡기의 주인공 장무기는 투철한 의협심을 가진 반면에 결단을 내리지 못하고 우유부단한 성정을 드러내고, 쉽게 다른 이를 믿고 간계에 빠지곤 한다.
인생이란? |
카테고리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