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2010/02/19 삶과 죽음에 대해 생각한다

2010/02/19
짜라일기: 삶과 죽음

최근에 우연히도 공통된 책과 영화를 보게 되었다.

책: 소크라테스의 변명, 크리톤, 파이돈
영화: 집행자

"악법도 법이다"라는 말을 남긴 것으로 유명한 소크라테스.
2400년 뒤에도 전해지는 그 말이 태어나는 책이다.

소크라테스는 죽음을 담담하게 받아들인다.
사형 집행인에게 소크라테스가 묻는다.

소씨: 일을 빨리 진행하려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
집행자: 약을 마시고 계속 걸어라. 그리고 다리가 무거워 질 즈음에 침대에 편안히 누워라. 그러면 힘들지 않게 편안하게 안식을 얻을 것이다.

집행자는 그렇게 진심어린 조언을 한다.
소크라테스가 마지막 한줌의 숨을 남겨놓고 이렇게 말한다.

크리톤, 우리는 아스클레피오스(Asklepios)에게 닭 한 마리를 빚진 것이 있네, 소홀히 하지 말고 갚아주게나.

인생의 고통으로 부터 벗어나, 자유를 얻는데 대해 감사하는 마음으로 신께 감사의 제물을 바치는 여유를 보여준다.



영화 집행자는 교도관들에 대한 이야기다.
좀 더 정확히 말하면, 사형을 집행하는 교도관 이야기다.

사형을 집행하면서 느끼는 다양한 감정의 스펙트럼, 그 색깔의 화려함 만큼이나, 수없이 많은 악몽과 끊임없는 인생에 대한 성찰.
어떤 사람은 죽어 마땅하고,
또 다른 이는 안타까운 인생의 마감을 담담하게 보여준다.

"내가 슬퍼하는 오늘이, 다른 어떤 이에게는 간절 바라던 하루."

라는 경구처럼, 다시 한 번 곱씹어 보게 되는 인생에 대한 진지한 성찰을 전해준다.
인생이 별것 아닌 것 같은 나날의 연속이데,
그 속에서 살아가는 짜라라는 인간은 가끔, 스스로에게 질문을 던진다.

카이, 넌 얼마나 절실하니.

외줄을 타는 듯, 아슬아슬한 하루하루를 살면서 그 박진감을 덤덤히 느끼는 ''를 보며 자꾸만 끝없는 상념의 나락으로 꺼져 내려앉는다.

언제쯤,
이 탐욕과
욕심을
버릴 수 있을까?

버린다고 버렸다.
버릴만큼 버렸다.
그렇다고 생각했다.
그런데…….
언젠진 모르겠지만, 그날이 빨리 왔으면 좋겠다.


책, 영화 모두 사형수와 집행자의 이야기를 다루고 있지만,
한쪽은 사형수가 주인공이고,
다른 한쪽은 집행자가 주인공이다.

두 편의 이야기는 나름의 철학을 담고 있지만,
그 보다 더 중요한 것은 독자로 부터 '참을 수 없는 인생의 가벼움'에 대한 진지한 질문을 던지도록 하는 화두에 있다.


봄날은 간다
- 김윤아

눈을 감으면 문득
그리운 날의 기억
아직까지도 마음이 저려 오는 건

그건 아마 사람도
피고 지는 꽃처럼
아름다워서 슬프기 때문일 거야, 아마도.

봄날은 가네 무심히도
꽃잎은 지네 바람에
머물 수 없던 아름다운 사람들

가만히 눈 감으면 잡힐 것 같은
아련히 마음 아픈 추억 같은 것들

봄은 또 오고
꽃은 피고 또 지고 피고
아름다워서 너무나 슬픈 이야기

봄날은 가네 무심히도
꽃잎은 지네 바람에
머물 수 없던 아름다운 사람들

가만히 눈 감으면 잡힐 것 같은
아련히 마음 아픈 추억 같은 것들

눈을 감으면 문득
그리운 날의 기억
아직까지도 마음이 저려 오는 건
그건 아마 사람도 피고 지는 꽃처럼
아름다워서 슬프기 때문일 거야, 아마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