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후감: 밸런스 독서법 2012/03/07 짜라일기 오랜만에 '독서법'에 관한 책을 읽었다. 뭐 대단한건 아니지만 짜라는 나름의 독서법을 가지고 있다. 5000천권 정도 책을 읽었다고 담담히 말하는 작가의 이야기를 듣다보니, 나름 여러 가지 다양한 방법으로 책을 읽어 봤구나 하는 생각이 들었다. 책을 읽는다는 건 억지러 읽어서도 안 되지만, 무작정 많이 읽는 것도 능사는 아니라고 한다. 짜라는 일단 무조건 많이 읽으면 좋다는 주의다. 손정의는 3년 동안 1000권의 책을 읽었다고 한다. 많이 읽다보면, 스스로의 방법론이 하나씩 생기고, 시간이 지나고 스스로의 방법론이 켜켜이 쌓이다 보면 나름의 생명력을 얻어 진화하는 하나의 인격체처럼 되어간다. 이쯤 되면 자랑스럽게 '독서법'이라는 이름을 붙여도 부끄러움이 없을 것이다. 그래도 자기만의 '독서법'이라고 하면 왠지 좀 부끄럽기는 하다. 그런대 저자의 이야기를 듣고 보니 또 그런 거 같다. 무작정 많이 읽는 것이 능사는 아니라……. 짜라가 가진 관념과 작가의 이야기를 뭉치면 대충 이런 이야기가 될까? 일단 다독은 좋은 거다. 그렇지만 병행하여 생각이란 걸 해야 한다. 그런데 이렇게 생각을 합리화 하고보니 뭔가 어색하다. 독서라는 행위는 당연히 '생각'이라는 행동을 수반한다. 생각 없이 책을 읽는다는 게 과연 상상이나 할 수 있는 건가? 저자 이동우씨의 이야기에 좀 더 귀를 기울여 보자. 일단 책에 재미를 붙이는 것이 첫 번째이다. 다음으로 균형 잡힌 식당을 만들어야 한다. 다양한 분야의 책으로 밥상을 풍성하게 만들어야 한다. 고기를 좋아한다고, 고기반찬만 잔뜩 올려놓은 밥상은 누가 보아도 고개를 흔들만한 상황이 아니겠는가. 균형 잡힌 식단을 만드는 방법을 다른 말로 전략적인 책읽기라고 라고 할 수 있겠다. 전략이라는 건 상황이나, 환경, 자신의 상태 등이 종합적으로 반영되어야만 만들어 질 수 있다. 마지막으로 '독서의 지도'를 만드는 것이다. 예전에 "생각의 지도"라는 책을 얼핏 지나쳤는데, 비슷한 느낌을 불러오는 단어다. 지도에는 종류가 있다. 전체를 조망하는 지도가 있는가 하면, 자세하고 꼼꼼하게 나오는 지도가 있고, 더러는 맛집이나 관광명소와 같은 정보를 제공하는 지도도 있다. 로마의 전성기에는 겁으로 된 지도도 있었다고 한다. 아무튼 자신만의 '독서의 지도'를 만들어 가면서 책을 읽으면, 무턱대도 책을 많이 있는 것도 좋지만, 더 좋은 책읽기가 될 수 있고 독서를 통해 성취하고자 했던 목적, 성공이라던 지 행복, 사랑, 여가 등의 목적지에 보다 정확하게 도달하고 내리는 비를 직접 맞는 것처럼 선명하게 느낄 수 있다. 작가는 9가지 분야를 추천하며, 분야를 나누어 독서를 하면 영향을 골고루 안배한 균형 잡힌 식단을 만들 수 있다고 소개한다. 더하여 10번째 분야를 스스로 만들어 보라고 부추긴다. 자신이 진정으로 좋아하는 분야를 하나 선정해 추가로 읽으면 더욱 풍성한 식탁이 되리라고 생각한다. 그렇다면 짜라의 10번째 분야는 여가/스포츠다. 만능 엔터테이너까지는 아니어도, 마음만-엔터테이너 정도는 되지 않을까? |
카테고리 없음